네이버톡톡
카톡상담
네이버예약
블로그
오시는길

정밀통증치료

재생 클리닉

염증 조절과 안정성 회복을 돕는 영상유도 재생치료

초음파 또는 투시장치를 사용해 병변 부위를 확인한 뒤 정밀 주사를 시행합니다

진료분야

재생 클리닉

팔·다리 저림·요통

원인 경로를 정확히 확인하고 치료합니다

TISSUE HEALING CLINIC

재생 클리닉

  • 프롤로(인대강화주사): 고장성 용액 등을 인대·건 부착부 등에 주입해 미세 치유 반응을 유발, 불안정성·미세손상으로 인한 통증을 줄이고 기능 회복을 돕습니다.
  • PDRN(DNA) 주사: 염증 조절과 조직 회복 환경 개선을 기대하는 주사로, 건·인대·근막·점액낭의 염증성 통증에 보조적으로 사용합니다.

※ 개인차가 크며, 치료는 진료·영상 소견과 의학적 판단에 따릅니다.

적응 대상(예시)

급성 염좌(발목, 무릎, 손목 등)와 만성 통증(테니스엘보/골프엘보, 족저근막염, 아킬레스·슬개건 병증) 등

어깨 충돌·점액낭염·석회성 건염 보조, 발목 인대 만성 불안정, 손목 TFCC 주변 염증 등

반복적 과사용으로 인한 건·인대의 염증/미세손상 등

진행·관리

외래에서 시행하며, 병변 위치를 영상으로 확인해 표적 주사를 진행합니다.

시술 후 일시적 국소 통증/당김이 있을 수 있어 부하 관리 · 얼음찜질을 안내합니다.

도수·운동치료(편심성 강화·자세/패턴 교육), ESWT와 함께 계획하여 재발을 줄이는 루틴을 만듭니다.

FAQ

A. 과천바른성모정형외과의 노하우로 불편을 줄이고 안전성을 높입니다.

A. 원인·기간·부하 요인 등에 따라 개인차가 큽니다. 경과에 맞춰 계획을 조정합니다.

A. 통증 허용 범위에서 단계적으로 진행하며, 자세·패턴을 함께 교정합니다.

※ 본 안내는 일반 정보이며, 적응증·계획은 진료 후 결정됩니다.

원인

과사용·누적 미세손상

반복적 머리 위 동작, 장시간 마우스/그립 동작

구조/자세

견갑–상완 리듬 깨짐, 어깨 공간 협소, 전방자세

퇴행·염증 단계

건 퇴행·석회 형성, 관절낭 염증과 유착

주요질환

오십견(유착성 관절낭염)

  • 관절낭 염증과 유착으로 통증과 가동범위가 함께 감소
  • 통증기–동결기–해빙기로 진행, 야간 통증이 특징적
  • 통증 조절과 단계적 스트레칭/가동이 핵심
• 관절낭 염증 반응, 당뇨·갑상선 등 전신 요인 동반 가능
• 고정/사용 감소 후 경직, 오랜 자세 불균형
• 동반 회전근개·점액낭 염증이 악화 요인

회전근개 파열

  •  회전근 건의 부분/전층 파열로 통증·약화·기능 저하
  • 크기·연축·근위축에 따라 치료 전략이 달라짐
  • 보존치료 우선, 큰 전층 파열·기능 저하 시 수술 협진 검토
• 넘어짐·과부하 등 급성 손상 또는 퇴행성 파열
• 반복 머리 위 동작, 공간 협소로 인한 충돌
• 흡연·연령 증가·혈류 저하

석회성 건염

  • 힘줄 내 석회가 통증기–흡수기–잔여기로 변하는 질환
  • 흡수기에 격통·야간 통증이 흔함
  • 염증 조절과 기능 회복을 병행, 필요 시 세척술 검토
• 힘줄 퇴행·혈류 변화로 석회 형성
• 반복 사용·충돌로 주변 점액낭 염증 악화
• 공간 협소·견갑 리듬 이상

테니스 엘보(외측 상과염)

  • 공통 신근건의 과사용·건병증으로 발생하는 팔꿈치 바깥 통증
  • 클릭·그립·마우스 사용에서 악화, 아침 뻣뻣함 동반
  • 편심성 강화·부하 관리가 재발 예방의 핵심
• 반복 그립/손목 폄, 부하 급증, 장시간 마우스
• 전완–견갑 근쇄 불균형, 휴식 부족
• 건 퇴행·미세파열·혈류 저하

어깨충돌증후군

  • 견봉하 공간에서 점액낭/회전근개가 반복 충돌해 염증
  • 올릴 때 걸리는 통증(쇼킹 페인), 야간 통증 흔함
  • 공간·염증·리듬(견갑–상완) 세 축을 함께 다룸
• 견봉 형태·공간 협소, 견갑 안정화 결함
• 반복 머리 위 활동·구조적 불균형
• 동반 석회·부분 파열·점액낭염

진단방법

기본

X-ray

정렬ㆍ간격ㆍ후관절 / 불안정 소견

초음파

후관절·근막·점액낭 염증, 신경 주변 연부조직 확인

필요시

MRI

신경근 압박ㆍ부종, 협착 정도, 감별진단

신경학적 이학적 검사

디스크성·후관절성·근막성 패턴 구분

치료

영상유도 정밀 주사

선택적 신경근 주위/경막외 차단으로 염증·과민 조절 • 후관절·근막/점액낭 표적 주사로 동반 염증 관리

신경차단술

경막외, 후관절 내측지(MBB), 말초신경 등 증상 경로에 맞춰 선택

도수·운동치료

심부근 활성(경추: 심부목굴근 / 요추: 호흡·코어·브레이싱)

신경 글라이딩, 힙힌지(엉덩이 중심 굽힘), 견갑/둔근 안정화, 보행 패턴 교정(협착)

ESWT

만성 근막·건 통증에 보조적으로 적용(필요 시)

생활코칭

모니터 상단=눈높이, 팔꿈치≈90°, 손목 중립

50/10 리셋 루틴(50분 집중 → 3분 기립·스트레칭)

염증 신호(붓기·열감·통증 증가) 뚜렷한 날은 자극 감소·상담

수술 협진 기준

진행성 신경 결손(떨림·근력 급감)·보행 장애·영상상 중증 압박 시 충분한 설명 후 협진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