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수치료(Manual Therapy)
도수재활치료
도수·운동치료

통증의 ‘원인 기전’과 ‘기능’을 함께 다루는 재활
X-ray로 확인하고, 초음파로 염증 소견을 살펴 맞춤 도수·운동치료를 설계합니다
진료분야
도수·운동치료
팔·다리 저림·요통
원인 경로를 정확히 확인하고 치료합니다
PHYSICAL REHAB
도수·운동치료
이런 분께 도움이 됩니다
- 목/허리 염좌, 오래 앉는 업무 이후의 요통·경부통, 자세 불균형
- 어깨 충돌/석회성건염·점액낭염, 테니스엘보 등 과사용·염증성 통증
- 발목 염좌 후 불안정, 무릎(반월상·인대) 주변 통증, 족저근막염
- 정밀 주사/신경차단술/ESWT 이후 기능 회복과 재발 예방이 필요한 경우

평가·설계
1) 문진·이학검사
2) X-ray 기본 평가
3) 필요 시 초음파로 염증/부종/건·인대 상태 확인
통증 기전(디스크성·후관절성·근막·건/인대 염증)과 기능(가동성·근활성·자세)을 통합 평가
개인 목표(업무, 운동, 보행)에 맞춘 단계별 계획 수립
핵심 구성
- 관절 가동/신연
- 연부조직/근막 컨디셔닝
- 신경 글라이딩
- 경추
심부목굴근 활성, 견갑 안정화 - 요추/골반
코어·둔근 활성, 힙힌지·브레이싱 패턴 - 어깨/팔꿈치
견갑–상완 리듬, 편심성 강화(힘줄 병증) - 무릎/발목
고유수용성·밸런스, 착지/스텝 재교육
안정화 근육 강화
- 염증 징후가 뚜렷한 시기는 보호·통증 조절 중심
- 이후 점진적 로딩
- 모니터/키보드/마우스 세팅
- 러시 아워(출근 전·점심·퇴근 후) 일정 운영(병원 사정에 따라)
- Home exercise 교육
진행·관리
치료 후 통증과 움직임 변화를 확인하며, 필요 시 강도와 방법을 조정합니다.
집에서 할수 있는 간단한 스트레칭·운동을 안내하고, 내원 시 수행 여부를 함께 점검합니다.
정밀 주사·신경치료·ESWT와 연계해 염증을 줄이고, 기능 회복과 재발 예방까지 한 흐름으로 관리합니다.
FAQ
Q. 아픈 동작도 해야 하나요?
A. 통증 허용 범위 내에서 진행하며 염증이 심한 날은 자극을 줄여 조정합니다.
Q. 운동은 언제부터?
A. 초기엔 가벼운 활성화부터 시작해 기능 회복에 따라 단계적으로 확장합니다.
Q. 주사/차단술과 병행해도 되나요?
A. 네. 영상 확인 후 계획을 조정해 상호 보완되게 진행합니다.

※ 본 안내는 일반 정보입니다. 실제 치료 내용·강도는 진료와 영상 소견, 의학적 판단에 따릅니다.
원인
반복적 머리 위 동작, 장시간 마우스/그립 동작
견갑–상완 리듬 깨짐, 어깨 공간 협소, 전방자세
건 퇴행·석회 형성, 관절낭 염증과 유착
주요질환

오십견(유착성 관절낭염)
- 관절낭 염증과 유착으로 통증과 가동범위가 함께 감소
- 통증기–동결기–해빙기로 진행, 야간 통증이 특징적
- 통증 조절과 단계적 스트레칭/가동이 핵심
원인
• 관절낭 염증 반응, 당뇨·갑상선 등 전신 요인 동반 가능
• 고정/사용 감소 후 경직, 오랜 자세 불균형
• 동반 회전근개·점액낭 염증이 악화 요인
• 고정/사용 감소 후 경직, 오랜 자세 불균형
• 동반 회전근개·점액낭 염증이 악화 요인

회전근개 파열
- 회전근 건의 부분/전층 파열로 통증·약화·기능 저하
- 크기·연축·근위축에 따라 치료 전략이 달라짐
- 보존치료 우선, 큰 전층 파열·기능 저하 시 수술 협진 검토
원인
• 넘어짐·과부하 등 급성 손상 또는 퇴행성 파열
• 반복 머리 위 동작, 공간 협소로 인한 충돌
• 흡연·연령 증가·혈류 저하
• 반복 머리 위 동작, 공간 협소로 인한 충돌
• 흡연·연령 증가·혈류 저하

석회성 건염
- 힘줄 내 석회가 통증기–흡수기–잔여기로 변하는 질환
- 흡수기에 격통·야간 통증이 흔함
- 염증 조절과 기능 회복을 병행, 필요 시 세척술 검토
원인
• 힘줄 퇴행·혈류 변화로 석회 형성
• 반복 사용·충돌로 주변 점액낭 염증 악화
• 공간 협소·견갑 리듬 이상
• 반복 사용·충돌로 주변 점액낭 염증 악화
• 공간 협소·견갑 리듬 이상

테니스 엘보(외측 상과염)
- 공통 신근건의 과사용·건병증으로 발생하는 팔꿈치 바깥 통증
- 클릭·그립·마우스 사용에서 악화, 아침 뻣뻣함 동반
- 편심성 강화·부하 관리가 재발 예방의 핵심
원인
• 반복 그립/손목 폄, 부하 급증, 장시간 마우스
• 전완–견갑 근쇄 불균형, 휴식 부족
• 건 퇴행·미세파열·혈류 저하
• 전완–견갑 근쇄 불균형, 휴식 부족
• 건 퇴행·미세파열·혈류 저하

어깨충돌증후군
- 견봉하 공간에서 점액낭/회전근개가 반복 충돌해 염증
- 올릴 때 걸리는 통증(쇼킹 페인), 야간 통증 흔함
- 공간·염증·리듬(견갑–상완) 세 축을 함께 다룸
원인
• 견봉 형태·공간 협소, 견갑 안정화 결함
• 반복 머리 위 활동·구조적 불균형
• 동반 석회·부분 파열·점액낭염
• 반복 머리 위 활동·구조적 불균형
• 동반 석회·부분 파열·점액낭염
진단방법

기본
X-ray
정렬ㆍ간격ㆍ후관절 / 불안정 소견

초음파
후관절·근막·점액낭 염증, 신경 주변 연부조직 확인

필요시
MRI
신경근 압박ㆍ부종, 협착 정도, 감별진단

신경학적 이학적 검사
디스크성·후관절성·근막성 패턴 구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