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톡톡
카톡상담
네이버예약
블로그
오시는길

진료분야

수부 클리닉

손끝 저림·클릭·볼록한 혹·넘어짐 후 통증

염증/압박/불안정을 구분해 계획적으로 회복을 돕습니다

진료분야

수부 클리닉

팔·다리 저림·요통

원인 경로를 정확히 확인하고 치료합니다

HAND & WRIST

수부 클리닉

손·손목 통증은 손목터널증후군(수근관 증후군), 방아쇠수지, 드퀘르뱅 건초염, TFCC 손상, 결절종, 골절 후 후유증 등으로 자주 나타납니다.

과천바른성모정형외과에서는 X-ray와 초음파로 뼈·관절·힘줄·신경, 낭종 여부를 꼼꼼히 확인하고, 필요 시 신경전도검사를 통해 신경 압박이나 인대 손상 정도를 정밀하게 평가합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영상유도 정밀주사, 스플린트/보조기, 도수·운동치료, 체외충격파(ESWT) 등을 손을 많이 쓰는 직업·생활 패턴에 맞춰 조합하여 통증을 줄이고 안전하게 손을 쓰실 수 있도록 돕습니다.

원인

과사용·반복 동작

마우스/키보드, 그립·집기, 스크롤, 육아·가사, 직업성 반복 작업

구조·정렬

수근관 협소, 건초 분할, DRUJ/TFCC 불안정, 인대 이완

외상

넘어짐/충돌/비틀림, 급성 염좌·골절 이후 회복 지연

주요질환

손목터널증후군(수근관 증후군)

  • 정중신경이 수근관 내에서 염증·부종으로 압박되는 질환
  • 야간 저림·야간 통증이 특징, 일·가사 후 악화
  • 비수술 치료(주사·스플린트·신경 글라이딩)로 호전 가능
• 반복 굴곡/신전, 장시간 타이핑·트랙패드, 손목 과신전 자세
• 건초 비후·수근관 공간 협소, 부종·호르몬·대사 요인
• 불량 인체공학(높이/각도 미스매치)

방아쇠수지(방아쇠손가락)

  • A1 고리 인대 부위 건초염/결절로 걸렸다 펴지는 현상
  • 아침 강직·딸깍 소리, 통증·종창 동반
  • 단계적 보존치료 후 난치 시 수술 협진
• 반복 악력·쥐기·공구 사용, 당뇨·염증성 소인
• 건-활차 마찰 증가, 활액 증가
• 휴식 부족·과사용

드퀘르뱅 증후군(1구간 건초염)

  • 장무지외전근/단무지신근 1구간 건초의 염증·협착
  • 돌봄·증량된 스크롤·팔목 꺾임에서 악화
  • 스플린트·표적 주사·활동 조절로 호전
• 반복 엄지 사용·손목 요측 편위, 건초 분할(격막)
• 출산·수유·호르몬 변화, 스마트폰 과사용
• 드릴·공구/육아 등 반복 부하

TFCC 손상

  • 척측 손목 연골복합체(TFCC) 손상으로 통증·클릭·불안정
  • DRUJ 정렬·안정성 저하 시 지속 통증
  • 보조기·표적 주사·재활로 안정성 회복, 난치 시 수술 협진
• 회내/회외 반복, 체중부하 손목 운동(푸쉬업·짐)
• 넘어짐/비틀림 외상, 척골 양성 변이
• ECU 건초염 동반

손목 결절종(건활액 낭종)

  • 관절·건초에서 발생하는 낭성 종물, 통증/미용 불편
  • 크기 변동·자발 소실 가능, 신경 인접 시 저림
  • 초음파 확인 후 경과 관찰→흡인/주사→수술 순 접근
• 관절낭 약화·반복 미세손상, 활액 누출
• 인체공학 불량으로 과신전·마찰
• 과사용·유전 소인

손목 원위요골 골절

  • 넘어짐 후 손을 짚으며 발생, X-ray 우선 확인
  • 초기 통증·부종 관리와 안정화가 예후 좌우
  • 정렬·관절면 침범에 따라 보존 vs 수술 결정
• 낙상·스포츠·자전거/스쿠터 충돌, 골다공증
• 손목 과신전·회전 손상
• 고에너지/저에너지 외상

진단방법

X-ray

뼈·관절 기본확인

초음파

힘줄·근막 확인

신경전도 검사

신경·근육 기능검사

신경학적 이학적 검사

통증 원인 패턴확인

치료

영상유도 정밀 주사

영상을 보면서 아픈 신경과 관절 주변에 정확하게 주사를 놓습니다.
디스크·협착증, 어깨·무릎 통증 등 만성 통증 완화를 돕는 주사치료입니다.

도수·운동치료

굳어 있는 관절은 부드럽게 풀어주고, 약해진 근육을 강화하여 밸런스를 맞춥니다.

일상생활·직업 특성을 반영한 맞춤 재활 프로그램입니다.

ESWT

충격파로 혈류와 회복을 도와 만성 힘줄·근막 통증을 줄여주는 조직을 재생해주는 치료입니다.

진단방법

기본

X-ray

정렬ㆍ간격ㆍ후관절 / 불안정 소견

초음파

후관절·근막·점액낭 염증, 신경 주변 연부조직 확인

필요시

MRI

신경근 압박ㆍ부종, 협착 정도, 감별진단

신경학적 이학적 검사

디스크성·후관절성·근막성 패턴 구분

치료

영상유도 정밀 주사

선택적 신경근 주위/경막외 차단으로 염증·과민 조절 • 후관절·근막/점액낭 표적 주사로 동반 염증 관리

신경차단술

경막외, 후관절 내측지(MBB), 말초신경 등 증상 경로에 맞춰 선택

도수·운동치료

심부근 활성(경추: 심부목굴근 / 요추: 호흡·코어·브레이싱)

신경 글라이딩, 힙힌지(엉덩이 중심 굽힘), 견갑/둔근 안정화, 보행 패턴 교정(협착)

ESWT

만성 근막·건 통증에 보조적으로 적용(필요 시)

생활코칭

모니터 상단=눈높이, 팔꿈치≈90°, 손목 중립

50/10 리셋 루틴(50분 집중 → 3분 기립·스트레칭)

염증 신호(붓기·열감·통증 증가) 뚜렷한 날은 자극 감소·상담

수술 협진 기준

진행성 신경 결손(떨림·근력 급감)·보행 장애·영상상 중증 압박 시 충분한 설명 후 협진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