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톡톡
카톡상담
네이버예약
블로그
오시는길

정밀통증치료

신경차단술

영상으로 경로를 확인해, 원인 신경·관절을 표적 차단합니다

경막외·후관절 내측지·말초 신경 차단술을 초음파/투시장치로 정밀하게 시행합니다

진료분야

신경차단술

팔·다리 저림·요통

원인 경로를 정확히 확인하고 치료합니다

block

신경차단술

신경차단은 통증의 경로(신경·관절·연부조직)를 영상으로 확인하고, 염증·신경 과민·기계적 자극을 조절하도록 약제를 표적 주입하는 치료입니다. 필요한 경우 상태에 따라 다양한 신경(경부·체간·사지의 여러 분지)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 개인차가 크며, 치료는 진료·영상 소견과 의학적 판단에 따릅니다.

대표 술식과 적용대상

경막외 신경차단술

  • 대상
    • 경·요추 디스크로 인한 신경근 염증/방사통
    • 척추관 협착증 관련 염증성 통증
    • 목/허리 염좌 이후 신경 과민
    • 좌골신경통/근위부 신경근 자극이 의심되는 경우 등.
  • 방법
    • X-ray 확인 후 필요 시 투시장치로 경막외 공간과 분절을 확인
    • 약제를 분절·병변 중심으로 주입

후관절 내측지 차단술(MBB)

  • 대상
    • 후관절성 요통/경부통
    • 신전·기립 시 통증
    • 국소 압통/야간통
    • 경·요추 염좌 후 지속되는 관절성 통증
    • 연관 방사통
  • 방법
    • X-ray 기본 확인
    • 초음파 또는 투시장치로 내측지를 표적화해 저용량 주입(진단·치료 목적)

말초신경 차단술

  • 대상(예)
    • 견갑상신경(어깨 충돌/회전근개 주변 통증)
    • 후두신경(경추성 두통/목 주변 염증)
    • 무릎 주위 신경(관절염성 통증·수술 전후 통증 조절)
    • 발목 주위 신경(염좌 후 과민/염증)
    • 전완·손목 신경(TFCC 주변 통증, 과사용 신경 과민) 등
  • 방법
    • 주행·주변 혈관 신경을 확인하여 표적 주사

위 세 가지가 대표 예시이며, 실제로는 환자 상태에 따라 다양한 신경·분지에 차단술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진행·안전

대부분 외래에서 시행 후 빠른 일상 회복을 돕습니다.

항응고제 복용, 감염, 전신질환 등은 사전 평가 후 일정을 조정합니다.

시술 후 당일 무리한 운동/고열탕은 피하고, 증상·감각 변화를 관찰합니다.

도수·운동치료·ESWT·재생치료와 단계적으로 조합해 효과 유지와 재발 감소를 도모합니다.

FAQ

A. 통증 기전·염증 정도·생활 패턴에 따라 개인차가 있습니다. 반응을 보며 다음 단계를 결정합니다.

A.개인차가 있으나 대개 당일 또는 익일 가벼운 활동부터 시작합니다.

※ 본 안내는 일반 정보이며, 적응증·계획은 진료 후 결정됩니다.

원인

과사용·누적 미세손상

반복적 머리 위 동작, 장시간 마우스/그립 동작

구조/자세

견갑–상완 리듬 깨짐, 어깨 공간 협소, 전방자세

퇴행·염증 단계

건 퇴행·석회 형성, 관절낭 염증과 유착

주요질환

오십견(유착성 관절낭염)

  • 관절낭 염증과 유착으로 통증과 가동범위가 함께 감소
  • 통증기–동결기–해빙기로 진행, 야간 통증이 특징적
  • 통증 조절과 단계적 스트레칭/가동이 핵심
• 관절낭 염증 반응, 당뇨·갑상선 등 전신 요인 동반 가능
• 고정/사용 감소 후 경직, 오랜 자세 불균형
• 동반 회전근개·점액낭 염증이 악화 요인

회전근개 파열

  •  회전근 건의 부분/전층 파열로 통증·약화·기능 저하
  • 크기·연축·근위축에 따라 치료 전략이 달라짐
  • 보존치료 우선, 큰 전층 파열·기능 저하 시 수술 협진 검토
• 넘어짐·과부하 등 급성 손상 또는 퇴행성 파열
• 반복 머리 위 동작, 공간 협소로 인한 충돌
• 흡연·연령 증가·혈류 저하

석회성 건염

  • 힘줄 내 석회가 통증기–흡수기–잔여기로 변하는 질환
  • 흡수기에 격통·야간 통증이 흔함
  • 염증 조절과 기능 회복을 병행, 필요 시 세척술 검토
• 힘줄 퇴행·혈류 변화로 석회 형성
• 반복 사용·충돌로 주변 점액낭 염증 악화
• 공간 협소·견갑 리듬 이상

테니스 엘보(외측 상과염)

  • 공통 신근건의 과사용·건병증으로 발생하는 팔꿈치 바깥 통증
  • 클릭·그립·마우스 사용에서 악화, 아침 뻣뻣함 동반
  • 편심성 강화·부하 관리가 재발 예방의 핵심
• 반복 그립/손목 폄, 부하 급증, 장시간 마우스
• 전완–견갑 근쇄 불균형, 휴식 부족
• 건 퇴행·미세파열·혈류 저하

어깨충돌증후군

  • 견봉하 공간에서 점액낭/회전근개가 반복 충돌해 염증
  • 올릴 때 걸리는 통증(쇼킹 페인), 야간 통증 흔함
  • 공간·염증·리듬(견갑–상완) 세 축을 함께 다룸
• 견봉 형태·공간 협소, 견갑 안정화 결함
• 반복 머리 위 활동·구조적 불균형
• 동반 석회·부분 파열·점액낭염

진단방법

기본

X-ray

정렬ㆍ간격ㆍ후관절 / 불안정 소견

초음파

후관절·근막·점액낭 염증, 신경 주변 연부조직 확인

필요시

MRI

신경근 압박ㆍ부종, 협착 정도, 감별진단

신경학적 이학적 검사

디스크성·후관절성·근막성 패턴 구분

치료

영상유도 정밀 주사

선택적 신경근 주위/경막외 차단으로 염증·과민 조절 • 후관절·근막/점액낭 표적 주사로 동반 염증 관리

신경차단술

경막외, 후관절 내측지(MBB), 말초신경 등 증상 경로에 맞춰 선택

도수·운동치료

심부근 활성(경추: 심부목굴근 / 요추: 호흡·코어·브레이싱)

신경 글라이딩, 힙힌지(엉덩이 중심 굽힘), 견갑/둔근 안정화, 보행 패턴 교정(협착)

ESWT

만성 근막·건 통증에 보조적으로 적용(필요 시)

생활코칭

모니터 상단=눈높이, 팔꿈치≈90°, 손목 중립

50/10 리셋 루틴(50분 집중 → 3분 기립·스트레칭)

염증 신호(붓기·열감·통증 증가) 뚜렷한 날은 자극 감소·상담

수술 협진 기준

진행성 신경 결손(떨림·근력 급감)·보행 장애·영상상 중증 압박 시 충분한 설명 후 협진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