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톡톡
카톡상담
네이버예약
블로그
오시는길

도수재활치료

도수·운동치료

통증의 ‘원인 기전’과 ‘기능’을 함께 다루는 재활

X-ray로 확인하고, 초음파로 염증 소견을 살펴 맞춤 도수·운동치료를 설계합니다

진료분야

도수·운동치료

팔·다리 저림·요통

원인 경로를 정확히 확인하고 치료합니다

PHYSICAL REHAB

도수·운동치료

이런 분께 도움이 됩니다

  • 목/허리 염좌, 오래 앉는 업무 이후의 요통·경부통, 자세 불균형
  • 어깨 충돌/석회성건염·점액낭염, 테니스엘보 등 과사용·염증성 통증
  • 발목 염좌 후 불안정, 무릎(반월상·인대) 주변 통증, 족저근막염
  • 정밀 주사/신경차단술/ESWT 이후 기능 회복과 재발 예방이 필요한 경우

평가·설계

1) 문진·이학검사
2) X-ray 기본 평가
3) 필요 시 초음파로 염증/부종/건·인대 상태 확인

통증 기전(디스크성·후관절성·근막·건/인대 염증)과 기능(가동성·근활성·자세)을 통합 평가

개인 목표(업무, 운동, 보행)에 맞춘 단계별 계획 수립

핵심 구성

도수치료(Manual Therapy)

  • 관절 가동/신연
  • 연부조직/근막 컨디셔닝
  • 신경 글라이딩

운동치료(Exercise Therapy)

  • 경추
    심부목굴근 활성, 견갑 안정화
  • 요추/골반
    코어·둔근 활성, 힙힌지·브레이싱 패턴
  • 어깨/팔꿈치
    견갑–상완 리듬, 편심성 강화(힘줄 병증)
  • 무릎/발목
    고유수용성·밸런스, 착지/스텝 재교육
    안정화 근육 강화

염증 단계별 로딩 조절

  • 염증 징후가 뚜렷한 시기는 보호·통증 조절 중심
  • 이후 점진적 로딩

업무·자세 코칭

  • 모니터/키보드/마우스 세팅
  • 러시 아워(출근 전·점심·퇴근 후) 일정 운영(병원 사정에 따라)
  • Home exercise 교육

진행·관리

치료 후 통증과 움직임 변화를 확인하며, 필요 시 강도와 방법을 조정합니다.

집에서 할수 있는 간단한 스트레칭·운동을 안내하고, 내원 시 수행 여부를 함께 점검합니다.

정밀 주사·신경치료·ESWT와 연계해 염증을 줄이고, 기능 회복과 재발 예방까지 한 흐름으로 관리합니다.

FAQ

A. 통증 허용 범위 내에서 진행하며 염증이 심한 날은 자극을 줄여 조정합니다.

A. 초기엔 가벼운 활성화부터 시작해 기능 회복에 따라 단계적으로 확장합니다.

A. 네. 영상 확인 후 계획을 조정해 상호 보완되게 진행합니다.

※ 본 안내는 일반 정보입니다. 실제 치료 내용·강도는 진료와 영상 소견, 의학적 판단에 따릅니다.

원인

과사용·누적 미세손상

반복적 머리 위 동작, 장시간 마우스/그립 동작

구조/자세

견갑–상완 리듬 깨짐, 어깨 공간 협소, 전방자세

퇴행·염증 단계

건 퇴행·석회 형성, 관절낭 염증과 유착

주요질환

오십견(유착성 관절낭염)

  • 관절낭 염증과 유착으로 통증과 가동범위가 함께 감소
  • 통증기–동결기–해빙기로 진행, 야간 통증이 특징적
  • 통증 조절과 단계적 스트레칭/가동이 핵심
• 관절낭 염증 반응, 당뇨·갑상선 등 전신 요인 동반 가능
• 고정/사용 감소 후 경직, 오랜 자세 불균형
• 동반 회전근개·점액낭 염증이 악화 요인

회전근개 파열

  •  회전근 건의 부분/전층 파열로 통증·약화·기능 저하
  • 크기·연축·근위축에 따라 치료 전략이 달라짐
  • 보존치료 우선, 큰 전층 파열·기능 저하 시 수술 협진 검토
• 넘어짐·과부하 등 급성 손상 또는 퇴행성 파열
• 반복 머리 위 동작, 공간 협소로 인한 충돌
• 흡연·연령 증가·혈류 저하

석회성 건염

  • 힘줄 내 석회가 통증기–흡수기–잔여기로 변하는 질환
  • 흡수기에 격통·야간 통증이 흔함
  • 염증 조절과 기능 회복을 병행, 필요 시 세척술 검토
• 힘줄 퇴행·혈류 변화로 석회 형성
• 반복 사용·충돌로 주변 점액낭 염증 악화
• 공간 협소·견갑 리듬 이상

테니스 엘보(외측 상과염)

  • 공통 신근건의 과사용·건병증으로 발생하는 팔꿈치 바깥 통증
  • 클릭·그립·마우스 사용에서 악화, 아침 뻣뻣함 동반
  • 편심성 강화·부하 관리가 재발 예방의 핵심
• 반복 그립/손목 폄, 부하 급증, 장시간 마우스
• 전완–견갑 근쇄 불균형, 휴식 부족
• 건 퇴행·미세파열·혈류 저하

어깨충돌증후군

  • 견봉하 공간에서 점액낭/회전근개가 반복 충돌해 염증
  • 올릴 때 걸리는 통증(쇼킹 페인), 야간 통증 흔함
  • 공간·염증·리듬(견갑–상완) 세 축을 함께 다룸
• 견봉 형태·공간 협소, 견갑 안정화 결함
• 반복 머리 위 활동·구조적 불균형
• 동반 석회·부분 파열·점액낭염

진단방법

기본

X-ray

정렬ㆍ간격ㆍ후관절 / 불안정 소견

초음파

후관절·근막·점액낭 염증, 신경 주변 연부조직 확인

필요시

MRI

신경근 압박ㆍ부종, 협착 정도, 감별진단

신경학적 이학적 검사

디스크성·후관절성·근막성 패턴 구분

치료

영상유도 정밀 주사

선택적 신경근 주위/경막외 차단으로 염증·과민 조절 • 후관절·근막/점액낭 표적 주사로 동반 염증 관리

신경차단술

경막외, 후관절 내측지(MBB), 말초신경 등 증상 경로에 맞춰 선택

도수·운동치료

심부근 활성(경추: 심부목굴근 / 요추: 호흡·코어·브레이싱)

신경 글라이딩, 힙힌지(엉덩이 중심 굽힘), 견갑/둔근 안정화, 보행 패턴 교정(협착)

ESWT

만성 근막·건 통증에 보조적으로 적용(필요 시)

생활코칭

모니터 상단=눈높이, 팔꿈치≈90°, 손목 중립

50/10 리셋 루틴(50분 집중 → 3분 기립·스트레칭)

염증 신호(붓기·열감·통증 증가) 뚜렷한 날은 자극 감소·상담

수술 협진 기준

진행성 신경 결손(떨림·근력 급감)·보행 장애·영상상 중증 압박 시 충분한 설명 후 협진 안내